안녕하세요. 목돈이 생겨서 주식을 시작하려하는 주린이입니다.주식에 대한 공부는 지금 조금씩 하고있습니다.전에 몇번 주식을 했는데 차트창만 보고있으니 불안하드라구요그래서 알아본게배당주 etf 중에서 슈드라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.만약 일반 증권회사 주식을 만든 후 슈드를 하게된다면세금은 어떻게 내야하며 따로 신고하는게 있는지 궁금합니다.
안녕하세요~
**처음 주식을 시작하시고, 배당 ETF ‘슈드(SHD)’**에 관심 가지신 주린이 질문자님.
공부도 하시면서 차트 불안감까지 느껴보셨다니, 이미 주식 투자자 마음을 제대로 경험 중이시네요.
저도 처음 주식 시작할 때 배당 ETF를 선택했었는데, 질문자님처럼 세금과 신고 여부가 헷갈릴 수 있어요.
**SHD(슈드)**는 미국 배당주 ETF이기 때문에 세금 체계가 국내 주식과는 다릅니다.
✅ 1. SHD는 어떤 상품인가요?
SHD는 미국 상장 ETF입니다.
즉, 해외주식으로 분류되며,
주로 고배당 미국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에요.
분기마다 배당이 들어오고,
안정적인 수익 + 복리 효과를 기대하는 분들이 많이 선택합니다.
✅ 2. SHD 투자 시 내야 할 세금 2가지
| 항목 | 내용 | 세율 |
| 배당소득세 | 분기마다 들어오는 배당금에 부과됨 | 15% 미국 원천징수 |
| 양도소득세 | ETF 매도 시 수익 발생 시 부과됨 | 22% (기본공제 250만 원 적용 후) |
1) 배당세 (자동 처리)
배당금은 세후로 입금되며, 별도 신고 필요 없습니다.
예: 배당금 $100 → 세금 15%($15) 공제 후 $85가 계좌에 입금
2) 양도소득세 (직접 신고 필요)
1년 동안 해외주식 전체 수익에서 손실을 뺀 뒤 250만 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 세금 부과
매도하지 않으면 세금은 발생하지 않아요!
매도 후 다음 해 5월에 ‘종합소득세 확정신고’로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.
✅ 3. 별도로 신고할 것은?
배당소득 → 신고 필요 없음 (자동 원천징수)
양도차익 → 직접 신고 필요 (5월 종합소득세 신고)
홈택스 → 해외주식 양도소득 → 기본공제 적용 가능
✅ 실전 팁
증권사는 미래에셋, 키움, 삼성증권, 한국투자증권 등 해외ETF 거래 가능한 곳이면 어디든 OK
세금 신고가 번거로우면, 증권사 세무대행 서비스도 일부 제공 중
ETF 배당금은 원화로 자동 환전되므로 환율도 함께 고려하세요
[관련 정보 보러가기]: https://naver.me/GdyByHFH
[관련 정보 보러가기]: https://gons.jonggon.com/
질문자님처럼 안정적인 ETF부터 시작하는 투자 방식은
심리적으로도 훨씬 건강하게 주식시장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!
앞으로의 투자 여정도 응원합니다.
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.
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.
[관련 정보 보러가기]: https://pos002.jonggon.com